
줄기세포 | 2010-08-01 Galectin-3 secreted by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reduces amyloid-beta42 neurotoxicity in vitro
본 연구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분비되는 갈렉틴-3 라는 단백질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원인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독성으로 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발행정보 | FEBS Lett. 2010 Aug 20;584(16):3601-8. · 저자 | Kim JY, Kim DH, Kim DS, Kim JH, Jeong SY, Jeon HB, Lee EH, Yang YS, Oh W, Chang JW. |
줄기세포 | 2010-06-01 GD2 express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neuronal differentiation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GD-2는 간엽줄기세포를 확인하는 key factor로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의 신경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규명되고 있다.· 발행정보 | Cell Mol Life Sci. 2010 Jun;67(11):1845-58. · 저자 | Jin HJ, Nam HY, Bae YK, Kim SY, Im R, Yang YS, Oh WI, Choi SJ, Kim SW. |
줄기세포 | 2010-05-13 Microporation is a valuable transfection method for efficient gene delivery into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본 연구는 세포치료제의 이용에 있어, Microporation 기술이 간엽줄기세포에 효율적으로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유전자 세포치료 방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에 대해 보고하였다.· 발행정보 | BMC Biotechnology 2010 10: 38-50. · 저자 | Lim JY, Park SH, Jeong CH, Oh JH, Kim SM, Ryu CH, Park SA, Ahn JG, Oh W, Jeun SS, Chang JW. |
줄기세포 | 2010-04-26 Application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in disease models
본 연구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가 세포 치료제로서 연골 손상, 뇌 종양, 뇌 손상, 폐질환, 면역 치료제등 다양한 분야의 질병에 적용할 수 있는 세포임을 설명하고 있다.· 발행정보 | World J Stem Cells. Apr 26, 2010; 2(2): 34?38. · 저자 | Kim JY, Jeon HB, Yang YS, Oh W, Chang JW. |
줄기세포 | 2009-04-01 Overexpression of CXC chemokine receptors is required for the superior glioma- tracking property of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본 연구는 신경교종 세포가 IL-8 및 GRO-alpha 등의 물질을 분비하고, 이 물질에 대한 수용체 CXCR-1, 2를 발현하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가 신경교종 치료에 유효함을 제시하고 있다.· 발행정보 | Stem Cells Dev. 2009 Apr;18(3):511-9. · 저자 | Kim DS, Kim JH, Lee JK, Choi SJ, Kim JS, Jeun SS, Oh W, Yang YS, Chang JW. |
줄기세포 | 2009-04-01 Down-regulation of CD105 is associated with multi-lineage differentiation in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본 연구는 세포표면항원으로서 알려져 있는 CD105 발현을 조절하여, 이 항원이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의 분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고,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의 분화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세포 마커로서 처음 제시하였다.· 발행정보 |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9 Apr 17;381(4):676-81. · 저자 | Jin HJ, Park SK, Oh W, Yang YS, Kim SW, Choi SJ. |
줄기세포 | 2008-12-01 Gene therapy using TRAIL-secreting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gainst intracranial glioma
본 연구는 두개골 내부의 신경교종을 치료하는데 있어,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유전자 전달에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가 유용한 운반체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발행정보 | Cancer Res. 2008 Dec 1;68(23):9614-23. · 저자 | Kim SM, Lim JY, Park SI, Jeong CH, Oh JH, Jeong M, Oh W, Park SH, Sung YC, Jeun SS. |
줄기세포 | 2008-08-01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stimulates the neural differentiation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survival of differentiated cells through MAPK/ERK and PI3K/Akt-dependent signaling pathways
본 연구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가 BDNF에 의해 신경세포로 분화될때의 Signaling을 확인한 결과이다.· 발행정보 | J Neurosci Res. 2008 Aug 1;86(10):2168-78. · 저자 | Lim JY, Park SI, Oh JH, Kim SM, Jeong CH, Jun JA, Lee KS, Oh W, Lee JK, Jeun SS. |
기타 | 2008-07-01 Impact of myocardial infarct proteins and oscillating pressure on the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effec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n stem cell differentiation
본 연구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능력과, 급성 심근경색 모델에서의 치료효능에 대해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발행정보 | Stem Cells. 2008 Jul;26(7):1901-12. · 저자 | Chang SA, Lee EJ, Kang HJ, Zhang SY, Kim JH, Li L, Youn SW, Lee CS, Kim KH, Won JY, Sohn JW, Park KW, Cho HJ, Yang SE, Oh WI, Yang YS, Ho WK, Park YB, Kim HS. |
줄기세포 | 2008-03-01 Cytotoxicity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gainst human malignant glioma cells
본 연구는 뇌종양 세포에 대해 이동 능력이 있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해, 외부의 세포 자극없이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가 악성 신경교종에 대해 세포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한 연구이다.· 발행정보 | Childs Nerv Syst. 2008 Mar;24(3):293-302. · 저자 | Kang SG, Jeun SS, Lim JY, Kim SM, Yang YS, Oh WI, Huh PW, Park 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