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현황

줄기세포 | 2018-09-05
Cobalt Chloride Enhances the Anti-Inflammatory Potency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the ERK-HIF-1α-MicroRNA-146a-Mediated Signaling Pathway
MSC는 염증 반응이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파라 크린 분비 또는 세포 간 접촉을 통해 치료 효과를 나타냄. 본 연구논문에서는 CoCl2가 ERK-HIF-1a-miRNA124a 경로를 통해 MSC의 항염증능을 향상시키고, CoCl2가 전처리된 MSC의 염증성 질환 치료 효능이 더 우수함을 천식 마우스 모델을 통해 확인하였음

· 발행정보 | 2018 Sep 5;2018:4978763. doi: 10.1155/2018/4978763
· 저자 | Soo Jin Choi, Wonil Oh, Yoon Sun Yang, Hong Bae Jeon, Eun Su Jeon, Ji Hye Kwak
기타 | 2018-08-06
Modeling and Staging of Osteoarthritis Progression Using Serial CT Imaging and Arthroscopy
본 연구는 meniscal release 방법을 사용하여 sheep에 퇴행성 관절염을 유도한 후 개체의 희생없이 CT 이미지와 관절경으로 연골 손상 정도를 확인하여 치료제 투여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인간과 유사한 퇴행성 관절염 대동물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

· 발행정보 | Cartilage. 2018 Aug 6:1947603518789997. doi: 10.1177/1947603518789997
· 저자 | Candace Flynn, Mark Hurtig, Emma Lamoure, Erin Cummins, Valeria Roati, Mark Lowerison, Sang Young Jeong, Wonil Oh, Alex Zur Linden
줄기세포 | 2018-07-11
Intracellular Calcium Determines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via the Wnt5a/β-Catenin Signaling Pathway
칼슘에 의해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 분화능력이 증진되고, 이는 Wnt5a/β-Catenin 시그널링을 통해 진행됨을 관찰함. 상기의 결과를 통해 줄기세포 분화능 향상을 위한 배양 조건을 확인함.

· 발행정보 | Stem Cells Int. 2018 Jul 11;2018:6545071. doi: 10.1155/2018/6545071
· 저자 | Yun Kyung Bae, Ji Hye Kwon, Miyeon Kim, Gee-Hye Kim, Soo Jin Choi, Wonil Oh, Yoon Sun Yang
줄기세포 | 2018-05-22
Small hypoxia-primed mesenchymal stem cells attenuate graft-versus-host disease
신공정 스멉셀의 우수성을 확인 하였고, 이를 통해 세포치료제의 효능 증진을 GVHD 동물 모델을 통해 증명함. 신공정을 통한 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본 데이터를 확보함.

· 발행정보 | Leukemia. 2018 May 22. doi: 10.1038/s41375-018-0151-8
· 저자 | Hye Jin Jin, Sang Young Jeong, JiHye Kwon, Miyeon Kim3, Soo Jin Choi3, Wonil Oh, Yoon Sun Yang3
줄기세포 | 2018-01-10
Thrombospondin-1 secreted by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rescues neurons from synaptic dys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model
본 연구는 제대혈유래 간엽줄기세포 분비 단백질인 TSP-1에 의해,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나타나는 신경세포 시냅스 기능 장애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발행정보 | Sci Rep. 2018 Jan 10;8(1):354. doi: 10.1038/s41598-017-18542-0.
· 저자 | Dong Hyun Kim, Hoon Lim, Dahm Lee, Soo Jin Choi, Wonil Oh, Yoon Sun Yang, Jeong Soo Oh, Hyun Ho Hwang, Hong Bae Jeon
줄기세포 | 2017-10-10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rapid clinical-scale expansion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본 연구는 간엽줄기세포의 임상적용을 위한 최적 조건 및 대용량 세포배양 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세포 수 증가와 함께 줄기세포 특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 발행정보 | Clin Transl Med. 2017 Oct 10;6(1):38. doi: 10.1186/s40169-017-0168-z.
· 저자 | Wankyu Choi, Soon Jea Kwon, Hye Jin Jin, Sang Young Jeong, Soo Jin Choi, Wonil Oh, Yoon Sun Yang, Hong Bae Jeon, Eun Su Jeon
뉴모스템 | 2017-04-21
Two-Year Follow-Up Outcomes of Premature Infants Enrolled in the Phase I Trial of Mesenchymal Stem Cells Transplantation for Bronchopulmonary Dysplasia
임상 1상 시험에 등록된 미숙아들에 대한 뉴모스템의 기관내 이식은 2년 추적 관찰을 통해 호흡기, 성장 및 신경 발달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함을 확인함.

· 발행정보 | J Pediatr. 2017 Jun;185:49-54.e2. doi: 10.1016/j.jpeds.2017.02.061
· 저자 | So Yoon Ahn, Yun Sil Chang, Ji Hye Kim, Se In Sung, Won Soon Park
카티스템 | 2017-02-02
Restoration of a large osteochondral defect of the knee using a composite of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hyaluronic acid hydrogel: a case report with a 5-year follow-up
카티스템 투여는 무릎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 1명의 5년 F/U 결과에서 연골 재생 및 개선된 임상 결과를 나타냄.

· 발행정보 | BMC Musculoskelet Disord. 2017 Feb 2;18(1):59-68. doi: 10.1186/s12891-017-1422-7.
· 저자 | Yong-Beom Park, Chul-Won Ha, Choong-Hee Lee, Yong-Geun Park
카티스템 | 2016-12-05
In vitro Chondrogenic Hypertrophy Induc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본 연구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분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연골비대화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in vitro 연골비대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발행정보 | Bio-protocol. Vol 6, Issue 23, page e2057
· 저자 | Sang Young Jeong, Miyoung Lee, Soo Jin Choi, Wonil Oh, and Hong Bae Jeon
줄기세포 | 2016-03-22
Senescence associated MCP-1 secretion is dependent on a decline in BMI1 in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본 연구는 제대혈 유래 간엽줄기세포의 노화의 진행을 MCP-1이라는 분비단백질이 유도하고 이는 BMI-1이라는 단백질이 후생학적으로 조절하고 있음을 규명한 연구이다.

· 발행정보 | Antioxid Redox Signal. 2015 Nov 17. [Epub ahead of print]
· 저자 | Hye Jin Jin, Hyang Ju Lee, Jisun Lim, Miyeon Kim, Min Kyung Kim, Hae Yun Nam, Gyong Hwa Hong, Yon Sook Cho, Soo Jin Choi, In-Gyu Kom, Dong-Myung Shin, Seong Who Kim